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발자로서 현장에서 일하면서 새로 접하는 기술들이나 알게된 정보 등을 정리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 좋게 미국에서 큰 회사들의 프로젝트에서 컬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의 IT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툴들에 대해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솔웅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카테고리

'2018/06/27'에 해당되는 글 1

  1. 2018.06.27 Elements of AI - About predicting the future

Elements of AI - About predicting the future

2018. 6. 27. 21:37 | Posted by 솔웅


반응형

Elements of AI



I.About predicting the future



We will start by addressing what is known to be one of the hardest problems of all: predicting the future.

우리는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알려진 것에 대해 addressing 하면서 시작하겠습니다. : 미래를 예언하는 것


You may be disappointed to hear this, but we don't have a crystal ball that would show us what the world will be like in the future and how AI will transform our lives.


아마 이것을 들으면 당신은 실망할 수도 있을겁니다. 미래의 세계와 인공 지능이 우리 삶을 변화시킬 방법을 우리에게 보여 줄 수정 구슬은 없습니다.


As scientists, we are often asked to provide predictions, and our refusal to provide any is faced with a roll of the eyes (“boring academics”). But in fact, we claim that anyone who claims to know the future of AI and the implications it will have on our society, should be treated with suspicion.


과학자로서, 우리는 종종 예측을 제공하라는 요청을 받고, 어떤 것을 제공하기를 거부하는 것은 roll of the eyes ( "boring academics")에 직면하게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AI의 미래와 이것이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을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모두 의심 받아야한다고 주장합니다.


The reality distortion field


Not everyone is quite as conservative about their forecasts, however. In the modern world where big headlines sell, and where you have to dissect news into 280 characters, reserved (boring?) messaged are lost, and simple and dramatic messages are magnified. In the public perception of AI, this is clearly true.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예측에 대해 보수적 인 것은 아닙니다. 큰 headlines이 판매되는 현대 세계에서 280 자로 뉴스를 분석해야 하는 곳에서는 예약 된 (boring?) 메시지를 잃어 버리고 단순하고 극적인 메시지가 확대됩니다. AI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서 이것은 분명히 사실입니다.




Note

From utopian visions to grim predictions


The media sphere is dominated by the extremes. We are beginning to see AI celebrities, standing for one big idea and making oracle-like forecasts about the future of AI. The media love their clear messages. Some promise us a utopian future with exponential growth and trillion-dollar industries emerging out of nowhere, true AI that will solve all problems we cannot solve by ourselves, and where humans don’t need to work at all.

It has also been claimed that AI is a path to world domination. Others make even more extraordinary statements according to which AI marks the end of humanity (in about 20-30 years from now), life itself will be transformed in the “Age of AI“, and that AI is a threat to our existence.


미디어 영역은 극단에 의해 지배됩니다. 우리는 인공 지능 celebrities를 만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의 큰 아이디어를 내고 AI의 미래에 대한 오라클과 유사한 예측(oracle-like forecasts)을하는 것입니다. 언론은 그들의 명백한 메시지를 좋아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이 전혀 일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 기하 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수조 달러의 산업이 나타나지 않는 유토피아 적 미래를 약속합니다.


인공 지능은 세계 지배의 길임을 주장 해 왔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AI가 (지금부터 약 20-30 년 후에) 인류의 종말을 표명하는 더욱 특별한 성명서를 작성하고, "AI의 시대"에서 삶 자체가 변형 될 것이며, AI는 우리의 존재에 대한 위협이라고 말합니다.


While some forecasts will probably get at least something right, others will likely be useful only as demonstrations of how hard it is to predict, and many don’t make much sense. What we would like to achieve is for you to be able to look at these and other forecasts, and be able to critically evaluate them.


일부 예측은 아마도 적어도 적절한 것을 얻게 될 것이지만, 다른 예측은 예측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시연으로 만 유용 할 것이고, 많은 것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가 달성하고자하는 것은 이러한 예측과 다른 예측을 보고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것입니다.



AWS DeepLens - Deep learning enabled video camera for developers

아마존 AWS DeepLens는 Deep learning을 배울 수 있는 개발자용 비디오 카메라 입니다.
2018년 6월부터 판매하고 있습니다. 구매를 원하시면 위 이미지 링크를 클릭하세요.

On hedgehogs and foxes


The political scientist Philip E. Tetlock, author of Superforecasting: The Art and Science of Prediction, classifies people into two categories: those who have one big idea (“hedgehogs”), and those who have many small ideas (“foxes”). Tetlock has carried out an experiment between 1984 and 2003 to study factors that could help us identify which predictions are likely to be accurate and which are not. On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was that foxes tend to be clearly better at prediction than hedgehog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long-term forecasting.


Superforecast : The Art and Science of Prediction의 저자 인 Philip E. Tetlock은 사람들을 하나의 큰 아이디어 (고슴도치)가 많거나 와 작은 아이디어 ( "여우")가 많은 사람들로 분류합니다. Tetlock은 1984 년과 2003 년 사이에 어떤 예측이 정확하고 그렇지 않은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여우가 고슴도치보다 예측에서 더 나은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장기 예측에 있어서는 그렇습니다.


Probably the messages that can be expressed in 280 characters are more often big and simple hedgehog ideas. Our advice is to pay attention to carefully justified and balanced information sources, and to be suspicious about people who keep explaining everything using a single argument.


아마도 280 자로 표현할 수 있는 메시지는 크고 단순한 고슴도치 아이디어 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조언은 신중하고 정당하고 균형 잡힌 정보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하나의 논점을 사용하여 모든 것을 계속 설명하는 사람들에 대해 의심을 품는 것입니다.


Predicting the future is hard but at least we can consider the past and present AI, and by understanding them, hopefully be better prepared for the future, whatever it turns out to be like.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최소한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인공 지능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이해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준비가 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I winters


The history of AI, just like many other fields of science, has witnessed the coming and going of various different trends. In philosophy of science, the term used for a trend is paradigm. Typically, a particular paradigm is adopted by most of the research community and optimistic predictions about progress in the near-future ar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1960s neural networks were widely believed to solve all AI problems by imitating the learning mechanisms in the nature, the human brain in particular. The next big thing was expert systems based on logic and human-coded rules, which was the dominant paradigm in the 1980s.


인공 지능의 역사는 다른 많은 과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경향의 출현을 목격했습니다. 과학 철학에서 추세에 사용되는 용어는 패러다임입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패러다임은 대부분의 연구 커뮤니티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진행에 대한 낙관적 인 예측이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1960 년대 신경망은 자연의 학습 메커니즘, 특히 인간의 두뇌를 모방하여 모든 AI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널리 믿어졌습니다. 다음으로 큰 것은 논리와 인간 규범에 기반을 둔 전문가 시스템이었는데, 1980 년대 지배적 인 패러다임이었습니다.


The cycle of hype


In the beginning of each wave, a number of early success stories tend to make everyone happy and optimistic. The success stories, even if they may be in restricted domains and in some ways incomplete, become the focus on public attention. Many researchers rush into AI — or at least calling their research AI — in order to access the increased research funding. Companies also initiate and expand their efforts in AI in the fear of missing out (FOMO).


각 웨이브가 시작될 때 초기 성공 사례가 많아서 모든 사람들을 행복하고 낙관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공 사례는 제한된 영역에 있거나 어떤면에서 불완전하더라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입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 자금 지원을 늘리기 위해 인공 지능을 연구하거나 적어도 자신의 연구를 AI 연구라고 명명합니다. 회사들은 자신들이 기회를 놓칠까봐 (FOMO fear of missing out) 두려워 AI 관련 사업을 시작하고 또 확장합니다.


So far, each time an all-encompassing, general solution to AI has been said to be within reach, progress has ended up running into insurmountable problems, which at the time were thought to be minor hiccups. In the case of neural networks in the 1960s, the hiccups were related to handling nonlinearities and to solving the machine learning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arameters required by neural network architectures. In the case of expert systems in the 1980s, the hiccups were associated with handling uncertainty and common sense. As the true nature of the remaining problems dawned after years of struggling and unsatisfied promises, pessimism about the paradigm accumulated and an AI winter followed: interest in the field faltered and research efforts were directed elsewhere.


지금까지 AI에 대한 포괄적이고 일반적 인 해결책이 나올 때 마다 또 다른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점에 직면해 왔습니다. (그 당시에는 그것이 그렇게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냥 마이너한 문제 -minor hiccups- 라고 생각 했었습니다.)  1960 년대의 neural networks의 경우, hiccups은 nonlinearities 처리와 관련됐고 neural network architectures에 필요한 매개 변수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서 machine learning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돼 있었습니다. 1980 년대의 전문가 시스템의 경우, hiccups은 불확실성과 상식을 다루는 것과 연관되어있었습니다. 수년간의 고군분투와 unsatisfied promises로 인해 남아있는 문제의 진정한 본질이 쌓여 감에 따라 패러다임에 대한 비관론과 AI 겨울이 뒤 따랐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연구 노력이 다른 곳으로 향했습니다.


Modern AI


Currently, roughly since the turn of the millennium, AI has been on the rise again. Modern AI methods tend to focus on breaking a problem into a number of smaller, isolated and well-defined problems and solving them one at a time. Modern AI is bypassing grand questions about meaning of intelligence, the mind, and consciousness, and focusing on building practically useful solutions in real-world problems. Good news for us all who can benefit from such solutions!


현재 밀레니엄 시대가 시작된 이래로 인공 지능에 대한 관심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현대 인공 지능 방법론은 문제를 다수의 작고 고립되고 잘 정의 된 문제로 분해하고 한 번에 하나씩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대 인공 지능은 지능, 정신 및 의식의 의미에 대한 거창한 질문을 우회하고 실제 문제에서 실제적으로 유용한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러한 해결책을 누릴 수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입니다!


Another characteristic of modern AI methods, closely related to working in the complex and “messy” real world, is the ability to handle uncertainty, which we demonstrated by studying the uses of probability in AI in Chapter 3. Finally, the current upwards trend of AI has been greatly boosted by the come-back of neural networks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capable of processing images and other real-world data better than anything we have seen before.


복잡하고 지저분한 현실 세계에서 일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있는 현대 인공 지능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불확실성을 다루는 능력이며, 우리는 3 장에서 AI에서 확률의 사용을 연구함으로써 이것을 증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인공 지능은 이전에 보았던 것보다 이미지 및 기타 실제 데이터를 처리 할 수있는 neural networks 및 deep learning 기술의 등장으로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Note

So are we in a hype cycle?

Whether the history will repeat itself, and the current boom will be once again followed by an AI winter, is a matter that only time can tell. Even if it does, and the progress towards better and better solutions slows down to a halt, the significance of AI in the society is going to stay. Thanks to the focus on useful solutions to real-world problems, modern AI research yields fruit already today, rather than trying to solve the big questions about general intelligence first — which was where the earlier attempts failed.


역사가 반복 될 지, 현재의 붐이 다시 AI 겨울이 뒤따를 지 여부는 시간 만 알 수있는 문제입니다. 그것이 더 좋고 더 나은 해결책을 향한 진전이 멈추더라도, 사회에서 AI의 중요성은 계속 남아있게 될 것입니다. 실제 문제에 대한 유용한 솔루션에 중점을 두어 현대 인공 지능 연구는 먼저 초기 시도가 실패한 일반적인 지능에 대한 커다란 질문을 해결하기보다는 오늘의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Prediction 1: AI will continue to be all around us



As you recall, we started by motivating the study of AI by discussing prominent AI applications that affect all ours lives. We highlighted three examples: self-driving vehicles, recommendation systems, and image and video processing. During the course, we have also discussed a wide range of other ap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ongoing technological transition.


당신이 기억 하듯이, 우리는 우리의 모든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AI 응용 프로그램을 논의함으로써 AI 연구에 동기를 부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세 가지 예를 강조했습니다 :자율 주행 차량, 추천 시스템, 이미지 및 비디오 프로세싱. 이 과정에서 진행중인 기술 전환에 기여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Note

AI making a difference

As a consequence of focusing on practicality rather than the big problems, we live our life surrounded by AI (even if we may most of the time be happily unaware of it): the music we listen to, the products we buy online, the movies and series we watch, our routes of transportation, and even the news and information that we have available, are all influenced more and more by AI. What is more, basically any field of science, from medicine and astrophysics to medieval history, is also adopting AI methods in order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of ourselves.


큰 문제보다는 실용성에 중점을 두는 결과로, 우리는 인공 지능으로 둘러싸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듣는 음악,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제품, 영화 우리가보고있는 시리즈, 운송 경로, 심지어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뉴스와 정보는 AI에 의해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게다가 의학과 천체 물리학부터 medieval history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으로 과학 분야는 우주와 우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깊게하기 위해 AI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Prediction 2: the Terminator isn't coming


One of the most pervasive and persistent ideas related to the future of AI is the Terminator. In case you should have somehow missed the image of a brutal humanoid robot with a metal skeleton and glaring eyes... well, that’s what it is. The Terminator is a 1984 film by director James Cameron. In the movie, a global AI-powered defense system called Skynet becomes conscious of its existence and wipes most of the humankind out of existence with nukes and advanced killer robots.


AI의 미래와 관련된 가장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는 터미네이터입니다. 당신이 어떻게 든 금속 골격과 눈부신 눈을 가진 잔인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이미지를 놓쳐 버렸어야했다면 ... 그렇습니다. 터미네이터는 1984 년 James Cameron 감독의 영화입니다. 영화에서 Skynet이라고 불리는 글로벌 인공 지능 동력 방어 시스템은 그 존재를 의식하게되고 핵무기와 진보 된 킬러 로봇으로 대부분의 인류를 없애 버립니다.



Note

Two doomsday scenarios

There are two alternative scenarios that are suggested to lead to the coming of the Terminator or other similarly terrifying forms of robot uprising. In the first, which is the story from the 1984 film, a powerful AI system just becomes conscious and decides that it just really, really dislikes humanity in general.


터미네이터 또는 유사하게 무서운 형태의 로봇 반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안되는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1984 년 영화의 첫 번째 이야기에서 강력한 인공 지능 시스템은 의식이 생겨서 인류가 정말로 정말로 싫다는 결정을 내립니다.

In the second alternative scenario, the robot army is controlled by an intelligent but not conscious AI system that is in principle in human control. The system can be programmed, for example, to optimize the production of paper clips. Sounds innocent enough, doesn’t it?


두 번째 대안 시나리오에서, 로봇 군대는 원칙적으로 인간의 통제하에 있는 지능형이지만 의식이 없는 인공 지능 시스템에 의해 제어됩니다. 예를 들어 종이 클립의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시스템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별로 범죄적이지는 않죠?

However, if the system possesses superior intelligence, it will soon reach the maximum level of paper clip production that the available resources, such as energy and raw materials, allow. After this, it may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t needs to redirect more resources to paper clip production. In order to do so, it may need to prevent the use of the resources for other purposes even if they are essential for human civilization. The simplest way to achieve this is to kill all humans, after which a great deal more resources become available for the system’s main task, paper clip production.


그러나 시스템이 우수한 지능을 보유하고 있다면 곧 에너지 및 원자재와 같은 가용 자원이 허용하는 최대 수준의 종이 클립 생산에 도달하게됩니다. 이 후에 종이 클립 제작에 더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는 결론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하기 위해서는 인간 문명에 필수적이라 할지라도 자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달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모든 인간을 죽이는 것입니다. 그 후에 많은 양의 자원이 시스템의 주요 작업 인 종이 클립 제작에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Why these scenarios are unrealistic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why both of the above scenarios are extremely unlikely and belong to science fiction rather than serious speculations of the future of AI.


위 시나리오가 모두 AI의 미래에 대한 심각한 추측 이라기보다는 과학 소설에 속하는 것이 극히 비현실적인 것이라는 여러가지 근거들이 있습니다.





Reason 1:

Firstly, the idea that a superintelligent, conscious AI that can outsmart humans emerges as an unintended result of developing AI methods is naive. As you have seen in the previous chapters, AI methods are nothing but automated reasoning, based the combination of perfectly understandable principles and plenty of input data, both of which are provided by humans or systems deployed by humans. To imagine that the nearest neighbor classifier, linear regression, the AlphaGo game engine, or even a deep neural network could become conscious and start evolving into a superintelligent AI mind requires a (very) lively imagination.


첫째, 인간보다 현명 할 수있는 지능적이고 의식이 있는 인공 지능이 인공 지능 방법을 개발 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난다는 생각은 순진합니다. 이전 장에서 보았 듯이 인공 지능 방법은 사람이 배포 한 시스템이나 인간이 제공하는 완벽하게 이해할 수있는 원칙과 많은 입력 데이터의 조합을 기반으로하는 자동화 된 추론 일뿐입니다. nearest neighbor classifier, linear regression, AlphaGo 게임 엔진 또는 심지어 deep neural network가 의식을 갖게 되고 초능력 인공 지능 사고로 진화하는 것을 상상하기 위해서는 (매우) 활기찬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Note that we are not claiming that building human-level intelligence would be categorically impossible. You only need to look as far as the mirror to see a proof of the possibility of a highly intelligent physical system. To repeat what we are saying: superintelligence will not emerge from developing narrow AI methods and applying them to solve real-world problems. (Recall the narrow vs general AI from the section on the philosophy of AI in Chapter 1.)


우리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축하는 것이 명백히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고도로 지능적인 물리적 시스템의 가능성에 대한 증거를 보기 위해서는 거울까지만 봐야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 superintelligence은 narrow AI methods에서 나오지 않으며 단지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이해 적용될 뿐입니다. (제 1 장에서 인공 지능의 철학에 관한 섹션에서 narrow vs general AI를 생각해 보세요.)


Reason 2:


econdly, one of the favorite ideas of those who believe in superintelligent AI is the so called singularity: a system that optimizes and “rewires“ itself so that it can improve its own intelligence at an ever accelerating, exponential rate. Such superintelligence would leave humankind so far behind that we become like ants that can be exterminated without hesitation. The idea of exponential intelligence increase is unrealistic for the simple reason that even if a system could optimize its own workings, it would keep facing more and more difficult problems that would slow down its progress, quite like the progress of human scientists requires ever greater efforts and resources by the whole research community and indeed the whole society, which the superintelligent entity wouldn’t have access to. The human society still has the power to decide what we use technology, even AI technology, for. Much of this power is indeed given to us by technology, so that every time we make progress in AI techonology, we become more powerful and better at controlling any potential risks due to it.


둘째, superintelligent AI를 믿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이디어 중 하나는 소위 특이성 (singularity)입니다. 즉, 가속화되고 기하 급수적 인 속도로 자체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적화하고 스스로 "rewires"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러한 superintelligent은 인류를 초월하게 되고 우리는 개미같은 존재가 되서 망설임 없이 제거되는 존재가 된다는 생각입니다. 기하 급수적 인 지능 증가에 대한 아이디어는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최적화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점점 단계가 진행 될 수록 점점 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그 진행 속도는 점점 더 느려지게 될 겁니다. 인간 과학자들이 점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전체 연구 기관에서도 더 많은 자원이 필요로 하게 되고 결국은 전체 사회의 더 많은 자원과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결국 그러한 needs는 superintelligent entity가 접근할 수 없는 지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 현실적이라는 겁니다. 

인간 사회는 아직 어떤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권한이 있습니다. AI 기술에 대한 결정권한도 마찬가지죠. 이 파워의 상당부분은 결국 기술로서 우리에게 주어질 겁니다. 그리고 우리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어떤 진전을 이룰 때마다 우리의 그러한 권한은 점점 더 강력해지고 그로 인해 잠재적인 리스크를 통제하는데 있어서도 더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게 될 겁니다.



Note

The value alignment problem

The paper clip example is known as the value alignment problem: specifying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so that they are aligned with our values is very hard. However, suppose that we create a superintelligent system that could defeat humans who tried to interfere with its work. It’s reasonable to assume that such a system would also be intelligent enough to realize that when we say “make me paper clips”, we don’t really mean to turn the Earth into a paper clip factory of a planetary scale.


종이 클립 예제는 가치 정렬(value alignment) 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스템의 목표를 지정하여 우리의 가치대로 정렬되도록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일을 방해하고 결국은 인간을 패배시킬 수 있는 superintelligent system을 만들었다 고 가정 해보십시오. 그러한 시스템은 우리가 "make me paper clips"라고 말했을 때 이것이 지구를 행성 규모의 종이 클립 공장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기에 충분히 지능적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Separating stories from reality


All in all, the Terminator is a great story to make movies about but hardly a real problem worth panicking about. The Terminator is a gimmick, an easy way to get a lot of attention, a poster boy for journalists to increase click rates, a red herring to divert attention away from perhaps boring, but real, threats like nuclear weapons, lack of democracy, environmental catastrophes, and climate change. In fact, the real threat the Terminator poses is the diversion of attention from the actual problems, some of which involve AI, and many of which don’t. We’ll discuss the problems posed by AI in what follows, but the bottom line is: forget about the Terminator, there are much more important things to focus on.


결국, 터미네이터는 영화를 만들기에는 아주 훌륭한 스토리이지만 그걸 현실적으로 받아들여 두려워 할 정도의 문제는 아닙니다. 터미네이터는 눈길을 끌기에 쉬운 방법이며, 저널리스트들에게 클릭률을 높이기 위한 좋은 소재이며 지루한 것에서 부터 주위를 끌 수 있는 빨간 청어 같은 것이죠. 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핵무기 같은 위협, 민주주의의 부재, 환경 재앙, 그리고 기후 변화 같은 것들이 주위를 끄는 이슈입니다. 사실, 터미네이터가 제기하는 진정한 위협은 이러한 실제 문제에서 관심을 돌리게 만드는 겁니다. 그러한 실제문제에는 실제 고민해야할 AI 관련 토픽도 있습니다. AI와 관련 한 실제 고민해야할 문제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논의 할 것입니다. 이 글의 결론은 터미네이터를 잊어 버리고, 훨씬 더 중요한 것에 집중하자는 것입니다.



Exercise 24: What is the perception of AI?

For this exercise, we want you to think about how AI is portrayed. Do an online image search for the term “AI” and see what kinds of pictures come up. If you are using Google search, you should choose "Images" in the top of the screen.

What's the general impression you get about AI from the image search results? Is thi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AI? Why or why not?


이 연습문제 에서는 AI가 어떻게 묘사되는지 생각해보기를 바랍니다. "AI"라는 용어에 대한 온라인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고 어떤 종류의 그림이 나타나는지 봅니다. Google 검색을 사용하는 경우 화면 상단에서 '이미지'를 선택해야합니다.


이미지 검색 결과에서 AI에 대해 얻는 일반적인 인상은 무엇입니까? 이것이 AI의 정확한 표현입니까? 왜 그렇습니까?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