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발자로서 현장에서 일하면서 새로 접하는 기술들이나 알게된 정보 등을 정리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 좋게 미국에서 큰 회사들의 프로젝트에서 컬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의 IT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툴들에 대해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솔웅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카테고리


반응형

이번 비디오는 IT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아주 도움이 많이 될거라고 확신합니다.

AI 쪽으로 계속 공부하다 보니까 AI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될지 하나 하나 윤곽이 잡혀 가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AI 로 새로 태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AI 는 자연어 (일상 언어)로 프로그래밍 하는 겁니다.

질문이 좋으면 답이 좋습니다. 남들 보다 더 좋은 답을 얻어내면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습니다.

AI 로부터 좋은 답을 얻기 위한 연구분야가 추론 입니다.

ChatGPT O1, O3 그리고 DeepSeek R1 같은 추론 모델에서 더 좋은 답이 나오는 것을 우리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배운 추론 방법론들을 총 정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AI를 계속 공부를 하다 보니까 점차 AI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될지 감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 시대가 시작할 때 인터넷과 일찍 친해진 사람들은 경쟁 사회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고 크게 성공한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AI 시대가 시작되는 지금 AI 와 친해지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AI 와 커뮤니케이션을 잘 해야 합니다.

AI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어를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말만 잘 하면 AI와 친해 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AI 와의 커뮤니케이션 방법론들을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추론 분야 입니다.
지금까지 배웠던 추론 방법론들을 좀 더 깊게 분석하고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CoT (Chain of Thought), ReAce (Reasoning and Acting), PS (Plan and Solve) 그리고 REWOO (Reasoning without Observation) 추론 방법론을 알아 볼 겁니다.

그리고 ChatGPT, DeepSeek, Gemini, Copilot, Perplexity, Grok 그리고 Claude 등 주요 AI 모델들에게 같은 질문을 하고 그 답변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첫번째 비디오는 IT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AI 와 친해지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 그리고 AI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될지 궁금하신 분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겁니다.

 

https://youtu.be/gE4NZ2H98NM?si=8N62mhmDEDv8s46w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