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발자로서 현장에서 일하면서 새로 접하는 기술들이나 알게된 정보 등을 정리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 좋게 미국에서 큰 회사들의 프로젝트에서 컬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의 IT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툴들에 대해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솔웅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카테고리

SEO 홈페이지 마케팅 - Off Page Optimization 4

2012. 1. 12. 23:31 | Posted by 솔웅


반응형

오늘은 SEO 홈페이지 마케팅중 Off Page Optimization 마지막 시간입니다.

오늘 살펴볼 항목은 Social Bookmarking과 robots.txt 파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Social Bookmarking
Social Bookmarking은 여러 다양한 북마킹 웹사이트들에서 태그나 키워드들을 이용해서 인터넷에서 웹 유저들에게 웹페이지들의 북마크들을 저장하고 organize하고 search하는위한 방법입니다.

북마킹 웹사이트들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Digg
- Del.icio.us
- StumbleUpon
- Technorati
- Reddit
- Squidoo
- Furl
- Yahoo MyWeb
- BlinkBits
- Simpy
- Blogmarks
- Spurl
- Raw Sugar
- Mybloglog
- Kaboodle
- Fark
- Propeller
- Mixx
- DZone
- Gnolia
- Bluedot
- Mybookmarks

이러한 사이트들은 어느 컴퓨터에서도 북마크에 접근하도록 도와줍니다.
Social bookmarking 은 인터넷에서 자신의 웹싸이트로의 링크 만드는데 아주 유용한 서비스 입니다.
여러분의 웹싸이트에서 한 웹페이지를 선택해서 다양한 social bookmarking 웹사이트에 북마크해 놓는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게 해 놓으면 검색 엔진이 여러분의 웹페이지를 쉽게 index할 수 있게 됩니다.

효율적으로 북마크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모든 웹 페이지를 북마크해 두지 않아야 합니다.
웹 유저에게 가장 유용한 웹페이지가 어떤 것인지 골라서 이 페이지를 submit 하시는게 좋습니다.


위 이미지는 digg.com 메인 화면 입니다.
이곳에 가셔서 다른 사람들은 어떤식으로 자신의 웹페이지를 북 마킹했는지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 Robots.txt
Robots.txt 파일은 Search Engine Spider에게 어떤 파일이 인덱스에 사용해야 하는 것이고 어떤것이 아닌지 알려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파일은 웹서버의 루트 폴더에 있게 됩니다.

* Robots.txt 파일 만드는 방법
http://www.robotsgenerator.com
이 웹페이지로 가시면 rogots.txt를 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여기서 보실 중요한 부분은 Actions 하고 Files or directories 입니다.
한번 샘플로 만들어 볼까요?
먼저 Actions 의 Allow를 체크하고 Files or directories에 /coronasdk 를 넣습니다.
그리고 Add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으로 Disallow를 체크하고 /adobe/acrobat.pdf 를 넣습니다.
또 Add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코로나SDK는 Allow 하고 어도비 아크로뱃 PDF 파일은 Disallow 했는데 그냥 예를 든 겁니다.
코로나SDK는 모바일 앱을 만드는 아주 유용한 툴인데 이 SDK를 개발 한 사람들은 어도비 사의 플래시( Flash) 개발 팀에 있던 사람들이거든요.
지금은 모바일 앱 개발 툴에서 경쟁관계에 있지만 그렇다고 그게 저하고 무슨 연관이 있는건 아닙니다. :)
잠시 여담이었구요.

이런식으로 내용을 다 작성했으면 그 다음도 간단합니다.
내용을 모두 Copy 하셔서 여러분의 PC에서 메모장이나 에디터나 뭐 그런거로 새 문서 만들어서 복사해 넣습니다.
그리고 그 새 문서를 robots.txt라고 이름 붙입니다.
그리고 그 robots.txt를 여러분의 웹서버 root 폴더에 복사해 넣습니다.

그럼 구글이나 여러 검색엔진들의 Search Engine Spider가 웹을 유령처럼 떠돌아 다니면서 정보를 수집해 갈 때 이 robots.txt가 있으면 이것을 근거로 정보를 가져 갈 겁니다.

위 페이지의 옵션을 보시면 특정 검색엔진(구글, 구글 모바일, msnbot ...)에 Allow 하고 Disallow하도록 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자 이상으로 SEO로 홈페이지 마케팅 하기 공부가 모두 끝났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총 정리 하는 팁을 소개해 드릴께요.
반응형

SEO 홈페이지 마케팅 - Off Page Optimization 3

2012. 1. 12. 00:07 | Posted by 솔웅


반응형
자신이 만든 홈페이지 마케팅을 잘하는 방법 SEO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Off Page Optimization 세번째 시간으로 포럼,PPC,유튜브를 통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내일은 최종 마무리 정리하는 시간을 갖을 계획입니다.

우선 포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Forums (포럼 이용하기)
포럼이란 어떤것을 질문하고 대답하는 그런 곳 입니다.
이런 곳을 통해서 웹사이트를 아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습니다.
이곳을 이용하면 아주 우량한 back link를 달 수 있습니다.
우량한 back link라면 곧 검색엔진에서도 상위에 랭크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 포럼 리스트 (100개)
1. http://forums.digitalpoint.com
2. http://www.vuju.com/
3. http://checkthisup.com
4. http://www.sitepoint.com/forums
5. http://www.thewebmasterforum.net
6. http://www.webmasterforums.com
7. http://www.allcoolforum.com
8. http://www.warriorforum.com
9. http://forums.webicy.com
10. http://thehyipforum.com
11. http://www.webmasterforumsonline.com
12. http://www.webmasters.am/forum
13. http://www.webmasterforums.net
14. http://www.devhunters.com
15. http://www.webmaster-forum.net
16. http://www.geekvillage.com/forums
17. http://www.zymic.com/forum
18. http://www.webmastershelp.com
19. http://www.webmasterdesk.org
20. http://www.webmasterground.com
21. http://developers.evrsoft.com/forum
22. http://www.websitebabble.com
23. http://www.elancetalk.com
24. http://www.talkingcity.com
25. http://www.australianwebmaster.com
26. http://www.wtricks.com
27. http://www.forums.webzonetalk.com
28. http://www.htmlforums.com
29. http://www.searchbliss.com/forum
30. http://www.webmasterize.com
31. http://www.webmasterserve.com
32. http://www.freehostforum.com
33. http://www.seorefugee.com/forums
34. http://www.cre8asiteforums.com/forums
35. http://forums.seo.ph
36. http://forums.delphiforums.com
37. http://www.web-mastery.net
38. http://www.webworkshop.net/seoforum/index.php
39. http://www.webproworld.com
40. http://www.bzimage.org
41. http://www.v7n.com/forums
42. http://www.dnforum.com
43. http://www.webcosmoforums.com
44. http://forums.webicy.com
45. http://forum.hittail.com/phpbb2/index.php
46. http://www.affiliateseeking.com/forums
47. http://siteownersforums.com/index.php
48. http://www.webmaster-forums.net
49. http://www.geekpoint.net
50. http://www.smallbusinessforums.org
51. http://forums.ukwebmasterworld.com
52. http://www.experienceadvertising.com/forum
53. http://opensourcephoto.net/forum
54. http://forums.seochat.com
55. http://forums.searchenginewatch.com
56. http://www.ihelpyou.com/forums
57. http://dishnews.medianetwork.co.in/yabb2/YaBB.pl
58. http://www.businesss-forum.com
59. http://www.9mb.com
60. http://acapella.harmony-central.com/forums
61. http://forums.seroundtable.com
62. http://www.submitexpress.com/bbs
63. http://www.startups.co.uk/6678842908486596004/forums.html
64. http://www.webmaster-talk.com
65. http://forums.comicbookresources.com
66. http://www.clicks.ws/forum/index.php
67. http://www.acorndomains.co.uk
68. http://forums.onlinebookclub.org
69. http://www.ableton.com/forum
70. http://www.davidcastle.org/BB
71. http://www.webtalkforums.com
72. http://www.bloggapedia.com/forum
73. http://www.bloggertalk.com/forum.php
74. http://paymentprocessing.cc
75. http://www.directoryjunction.com/forums
76. http://www.internetmarketingforums.net
77. http://www.lex224.com/forums/index.php
78. http://forum.joomla.org
79. http://forum.mambo-foundation.org/index.php
80. http://www.simplemachines.org/community/index.php
81. http://www.namepros.com/index.php
82. http://loanofficerforum.com/forum
83. http://iq69.com/forums
84. http://forum.hot4s.com.au
85. http://forums.mysql.com
86. http://forums.amd.com/forum
87. http://softwarecommunity.intel.com/isn/Community/en-us/Forums
88. http://forums.cnet.com
89. http://seotalk.medianetwork.co.in
90. https://www.computerbb.org
91. http://forum.vbulletinsetup.com
92. http://www.irishwebmasterforum.com
93. http://www.app-developers.com
94. http://forums.stuffdaily.com
95. http://forums.seo.com
96. http://www.webdigity.com
97. http://www.inboundlinksforum.com
98. http://forums.gentoo.org
99. http://ubuntuforums.org
100. http://forum.textpattern.com

* 포럼 고르는 순서
- 자신의 웹사이트 홍보에 알맞는 포럼을 찾는다.
- 가입을 한다. (build your profile)
- 질문과 답변 활동을 한다.

* 포럼에서 눈에 띄는 6가지 방법
- 가입시 프로파일을 만들때 보기 좋은 이미지나 gif animatiion 이미지로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해 노력한다.
- 질문들에 답변을 해 주면서 관련 있으면 자신의 웹싸이트 정보를 넣는다. (관련도 없는데 넣으면 나쁜 이미지를 주므로 하지 않는다.)
- 똑같은 답변을 여러번 반복해서 올리지 않는다. (댓글 도배는 아주 나쁜 이미지를 준다.)
- 항상 홈페이지에 대한 홍보만 하지 않는다. 읽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에 한다.
- 자신만의 비법이 있을경우 이것을 공유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나에게도 유용했다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것이다.
- 답변은 간단하게 요점만 정리한다.

### PPC
PPC는 pay per click advertising의 약자입니다.
즉 유료 광고(배너 등)를 말합니다.
PPC는 클릭수에 따라 광고료를 지불하는 것입니다.
이런 광고는 검색엔진이나 유튜브 그리고 페이스북 프로파일 등을 통해서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홈페이지에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구글에서 SEO로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노란 바탕으로 된 링크들이 PPC 광고를 한 곳입니다.

일반적으로 클릭당 50센트 내외 정도 합니다.
대출이나 부동산 또는 성인대상 영업같은 경우에는 클릭당 5~10불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PC는 SEO의 주요한 요소는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SEO는 이렇게 돈을 들여서 하는 방법보다 그렇지 않은 기술들을 더 중요하게 다루니까요.
돈 많으면 굳이 복잡한 SEO를 따로 생각할 필요없이 그냥 돈주고 광고하면 되니까요.

### 유튜브
유튜브를 통해 홈페이지를 광고하는 방법도 아주 널리 사용됩니다.
본인만의 채널을 만들어서 동영상강좌를 올리기도 하구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법을 올리기도 합니다.
자신의 홈페이지가 특별한 테크닉을 다루고 있다면 동영상강좌를 잘 올리면 크게 도움이 됩니다.
(검색엔진에 Adobe Acrobat 으로 PDF를 만들어서 올린것을 유튜브에는 동영상으로 만들어서 올릴 수도 있겠죠?)
동영상을 만들때 화면에 홈페이지의 로고는 반드시 넣으세요.
누군가가 댓글을 달면 반드시 답글을 다시구요.
친구 신청을 받았다면 잘 허락해 주세요.
본인의 채널을 만들 때는 MyTubeDesign.com을 활용하세요.
동영상을 만들 때나 자신만의 채널을 만들 때 활용할 수 있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내일은 마지막 시간으로 총정리를 하면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SEO 홈페이지 마케팅 - Off Page Optimization 2

2012. 1. 11. 00:44 | Posted by 솔웅


반응형
SEO 홈페이지 마케팅 Off Page Optimization 두번째 글입니다.

오늘은 웹디렉토리, eBook 그리고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이용하기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Web directories

웹 사이트를 web directory들에 submitting 하는 것은 제작한 웹 사이트를 promote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디렉토리 안에 있는 여러분의 웹사이트 리스트들은 구글, 야후, 빙 같은 다양한 검색엔진의 상위에 랭크되도록 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웹 디렉토리(Web Directory)들이 하는 일은 어떤 웹 사이트의 어떤 부분이 좋다는 점을 point 하기 때문에 검색엔진들이 이 리스트를 근거로 랭킹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이 웹 디렉토리에 등록하게 되면 당연히 검색엔진의 상위랭킹에 많은 도움을 주겠죠?

많은 웹 디렉토리들이 있는데요. 어떤 것은 유료이고 어떤것은 무료입니다.

*무료 웹 디렉토리(Free web directories)
- DMOZ Directory
- Librarians' Internet Index Directory
- World Site Index
- Search Sight
- Jayde Directory
- Mavicanet Directory
- Illumrate Directory

* 유료 웹 디렉토리들(Paid web directories)
- Yahoo Directory -$299/yr
- Starting Point Directory - $99/yr
- Business Directory - $299/yr
- Canny Link Directory - $20
- Americas Best Directory - $20
- Best of the Web - $99.95/yr

* 가장 인기있는 웹 디렉토리들 (Most popular web Directories)
- DMOZ Directory
- Yahoo Directory
- World Site Index
- Librarians' Internet Index Directory


가장 인기있는 무료 디렉토리인 DMOZ입니다.
이곳에서 자신의 홈페이지에 맞는 카테고리에 등록하면 됩니다.

이런류의 서비스는 예전에 80년대 후반 처음 인터넷이 처음 대중적으로 쓰였을 때부터 있었습니다.

요즘은 인터넷 하면 웹 을 얘기하지만 이 웹이 나오기 전에는 뉴스그룹, Archie, Telnet, FTP, 이메일, BBS 같은 여러 인터넷 서비스들이 있었습니다.
이 디렉토리 서비스도 예전에 웹이 없었을 때 자신이 검색하고 싶은 자료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가 있었는데 그 기능이 발전해서 지금까지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보니까 그냥 옛날 생각이 나서 별로 영양가 없는 소리를 좀 했습니다. :)

###  Ebooks in SEO
홈페이지에 대한 Ebook(PDF file)을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면 홈페이지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구글에서 Korea PDF 로 검색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한국에 대한 소개가 있는 여러 문서들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홈페이지도 이렇게 문서로 만들어서 배포하면 사람들에게 홈페이지를 알리는데 아주 유용할 겁니다.
그리고 그 정보가 가치가 있다면 유료로도 만들수 있겠죠. 책 출판 하듯이요.

Ebook을 활용하는 7가지 방법
- 우선 Ebook을 만들 툴을 선택한다.
  MS의 MS-Word 나 아래아 한글 등으로 작성해도 되지만 대부분 Adobe Acrobat을 추천합니다. 어도비 아크로벳으로 PDF 파일로 만들어서 올리는 겁니다.
- 10가지 작은 eBook을 만드는 것이 2개의 큰 eBook을 만드는 것 보다 효율적입니다.
- eBook안에 각 페이지마다 여러분의 작은 로고를 넣으세요.
- eBook안에 여러분의 웹페이지로 가는 링크를 만듭니다.
- 30~40 페이지를 넘지 않도록 하고 가능하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작성합니다.
- 웹사이트에 와 달라고 빌지는 마세요. 단지 오면은 그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는 사실을 인식시키세요.
- eBook을 만들었으면 만약에 그것이 유료라면 CD나 DVD로도 구워서 eBay같은데서 판매를 하세요.


### Facebook, Twitter 이용하기
요즘은 어느 블로그나 어느 웹사이트를 가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것을 이용한 promotion이 아주 많죠?


여러분이 보시는 이 블로그에도 (http://coronasdk.tistory.com) 글 아래부분에 보시면 트위터와 페이스북관련한 링크가 있습니다.
페이스북에는 이 글이 좋으면 Like를 눌러서 의사표시를 할 수도 있게 만들었네요.
맨 위에는 Daum View인데 손 그림인 View On을 누르면 추천의사를 전달하게 됩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많이 추천받은 글을 보고 싶어할 테니까 홈페이지 프로모션에 도움이 될 겁니다.
트위터, 페이스북은 누르면 이 홈페이지를 내 트위터나 페이스북 계정에 추천글로 올리게 되죠?
그리고 나머지 두개는 뭔지 잘 모르겠는데... 하여간 플러그인에서 세트로 있길래 설정해 놨습니다.
한국에서 많이 쓰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가 보죠?
(얘기 나온 김에 부탁 드려야 겠네요. 제 글 많이 추천해 주세요.. :))


* Facebook


페이스북에는 facebook.com에 접속하면 위 그림과 같이 Create a Page라는 링크가 Sign Up 버튼 아래에 있을거예요.


그 링크를 누르면 이렇게 자신의 정보를 홍보하는 여러 수단이 나오구요.

http://www.facebook.com/ads

위 링크로 가면 페이스북을 통해 광고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 twitter
트위터도 여러 다양한 홍보방법이 있죠?
한국 뉴스를 보면 이미 한국에서는 정치적으로도 트위터를 통한 여론이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단 한국 뿐만이 아니라 작년에 있었던 중동의 봄도 트위터가 상당히 영향을 미쳤구요.
또 트위터에 팔로워가 많으면 새로운 오피니언 리더로서 영향을 미칠수도 있습니다.
이런 예는 단지 현시기 트위터의 영향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든 것이구요.
여러분의 웹싸이트를 홍보하는데도 이런 트위터를 충분히 활용하셔야 됩니다.
사실 아직 저도 트위터 초보자라서 자세한 것은 설명 드릴 만큼 알지를 못합니다.
다만 제 트위터 계정을 소개해 드리자면
http://www.twitter.com/solkit70
입니다. :)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구요.

다음 시간에도 계속 이어서 SEO의 Off Page Optimization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