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발자로서 현장에서 일하면서 새로 접하는 기술들이나 알게된 정보 등을 정리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 좋게 미국에서 큰 회사들의 프로젝트에서 컬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의 IT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툴들에 대해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솔웅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카테고리


반응형

20년 넘는 직장생활 마치고 작년에 처음으로 Individual Contractor 로 일한 수익에 대해 세금 보고를 하게 됐습니다. 자영업자로서 세금 보고를 하게 된거죠.

정규직과는 다르게 경비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네요.

미국에서 15년 넘게 생활 하면서 직접 세금보고를 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저는 Turbo Tax를 사용하는데요.

AI 가 있어서 훨씬 수월하게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 세금 보고 하면서 AI를 활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혹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는 분들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AI 사용 팁은 세금 보고 뿐만이 아니라 다른 업무에도 활용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미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 계셔도 질문만 조금 바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 비디오를 보시는 분 들 중에 더 좋은 팁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댓글에 공유해 주세요.

그리고  일상 생활을 하시면서 혹은 비지니스를 하시면서 '이 부분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하고 어려운 데 AI 를 활용해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제가 고민하고 연구해서 좋은 방법을 찾으면 영상으로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youtu.be/ygbvTmuDVXw?si=1ubxujN2ycnDicVq

 

비디오에서 공유하기로 했던 비용 처리를 위한 Category 정리 파일을 아래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TaxReport_Expenses_Categories.txt
0.01MB



 

반응형


반응형

이 추론 방법론 비교 마지막회 작업을 하다가 AI 모델 순위를 바꿔 버렸습니다.

작업 하던 중 일론 머스크가 Grok 3 를 발표 했거든요.
써 보고 그냥 그런가 보다 했었는데, 추론 모델인 DeepSearch 모델을 사용해 보고 나서는 ㄷㄷㄷ.

일론 머스크 너는 도대체......

지난 시간에 다뤘던 일반 AI 모델들 보다 역시 AI 추론 모델들의 답변이 훨씬 Quality 가 높습니다.

공부를 할 때는 이 AI 추론 모델을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ChatGPT o1, DeepSeek R1 그리고 Grok 3 DeepSearch 모델들이 답한 CoT (Chain of Thought), ReAct (Reasoning & Acting), PS (Plan and Solve) 그리고 ReWOO (Reasoning without Observation) Research 자료로 공부 합니다.

그리고 각 AI 추론 모델들의 특징과 강점을 직접 느껴 보세요.

이 비디오에서 정한 순위는 특정 질문에 대한 각 모델들의 답변에 대한 저의 주관적인 평가 입니다.



https://youtu.be/z4bnY7lEOP0?si=YCAls0U6CVMDdAqY

 

 

반응형


반응형

지난 시간의 서론에 이어 오늘은 본격적으로 각 AI 들의 답변을 분석해 봅니다.

질문은 '아래 추론 방법론들을 분석하고 비교하라' 였습니다.

1.  COT (Chain of Thought)
2. ReAct ( Reasoning and Acting)
3. PS (Plan and Solve)
4. ReWOO (Reasoning without Observation)


오늘은 이에 대해 Gemini, Perplexity, Grok, Copilot 그리고 Claude AI 들의 답변을 갖고 공부합니다.

그리고 각 AI 의 특성과 장단점도 알아 봅니다.

비디오에서 정한 순위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고 저의 주관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정한 겁니다.

AI 들의 답변들을 보다 보면 4가지 추론 방법론들의 핵심 내용을 반복해서 공부하게 되서 훨씬 더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AI 모델들간의 특성도 파악할 수 있구요.

이 추론 방법론들은 AI와 더 잘 소통하는 법을 연구한 논문들을 근거로 만들어 졌습니다.

AI 로부터 더 좋은 답을 얻어내는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AI 시대에 경쟁력이 있을 거라는 것은 당연합니다.

연구자들과 개발자들은 어떻게 AI 로 부터 더 좋은 답을 얻어내려고 할까요?
이 비디오에서 그 단면을 보여드립니다.

https://youtu.be/XkSgND7w-XY?si=kmaSz8Unxm5yYOD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