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개발자로서 현장에서 일하면서 새로 접하는 기술들이나 알게된 정보 등을 정리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운 좋게 미국에서 큰 회사들의 프로젝트에서 컬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서 새로운 기술들을 접할 기회가 많이 있습니다. 미국의 IT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툴들에 대해 많은 분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솔웅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카테고리


반응형
Turning an HTML element into a jQuery Mobile slider




지난 글에서 다룬 예제를 Firebug로 보겠습니다. jQuery Mobile 이 변환시킨 코드입니다.





<input> element 에 data-type="range" attribute 가 있습니다. 그리고
type attribute는 "number"입니다. 이것은 slider 전에 있는 input field 와 관계가 있습니다. <div> element 에는 ui-slider class 가 있고 그 안에
ui-slider-handle class 가 포함돼 있는 <a> link 가 있습니다. 이것은 slider 의 축을 오가는 버튼을 꾸며 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주 대통령선거 TV 토론 후에 이정희 후보와 박근혜 후보와의 대결이 불꽃 튀겼죠?

전 개인적으로 속이 시원하더라구요.

제가 뭐 복잡한 계산은 못하구요.

토론 끝난 후에 보수신문이나 뭐 박근혜 후보쪽에서 워낙에 비판을 해대서 일단 사람들이 대선에 대해 한마디라도 더 하게 된 것 같아요.


이렇게 국민들이 좀 더 대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상황에서 안철수 후보가 문재인 후보에 대한 적극 지지 의사와 지지활동을 보여줘서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것 같습니다.


토론만 보면 문재인 후보 표를 깍아 먹었느니 어떠니 하지만..

제 생각은 후보 단일화 완성과 이후 행보들이 이뤄지기 직전에 사람들의 시선을 대선으로 끌어들인 부분이 있어서 오히려 더 도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오늘 2차 토론 있죠?

오늘도 지난번처럼 하면 안될 것 같은데... 오늘은 문재인 후보가 좀 더 돋보이기를 바랍니다.


하여간 지난 토론에서 이정희 후보가 언급한 박정희의 일본식 이름이 있습니다.

다카키 마사오.

하지만 박정희는 그 이름만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민족색을 지우기 위해 한차례 더 개명을 했는데요.

오카모토 미노루.


요즘 책이 하나 나왔다고 하던데요. 기사참조

'기시노부스케와 박정희'


뭐 제가 따로 그 책을 읽을 만한 상황은 아니어서...

공부 좀 해 보려구요.

두 사람의 인생을 연표로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잘 안 보이시나요?

저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크게 늘려 보시면 좀 도움이 되실겁니다.

저거 엑셀로 만들었는데요.

관심있는 분들은 다운 받아서 보세요.



kisiNpark.xlsx



아래는 한겨레 신문 김의겸 기자의 말입니다.


"일본의 정치인 기시 노부스케를 아십니까?
1930년대 일본의 식민지 만주국을 실질적으로 건설한 사람입니다.
2차 대전후 종전 뒤에는 A급 전범으로 체포 됐다가 극적으로 풀려났고 그 뒤로 일본 총리까지 역임한 사람입니다.
조선 반도의 청년 박정희는 만주국을 동경했습니다.
그리하여 혈서까지 써 가면서 만주 군관학교에 들어갔습니다.
1961년 박정희는 기시 노부스케를 만나게 됩니다.
그 자리에서 박정희는 유창한 일본어로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군사반란을 일으킨 것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떠올리며 구국의 일념에 불탔기 때문이다.
둘 다 만주국의 후예였기에 바로 통할 수 있었고 그 뒤 기시 노부스케는 박정희의 멘토가 됩니다.
12월 16일은 일본이 총선을 치루는 날입니다.
승리가 거의 확실한 자민당은 아베 신조가 이끌고 있습니다.
그 아베 신조가 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자입니다.
그 3일 뒤 한국에서는 대선이 치뤄집니다.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한일 양국 모두에서 만주 인맥의 후손이 정권을 잡는 그런 결과를 낳게 될 겁니다."


추신 : 글 다 써 놓고 보니까 일본 아사히 TV 의 선거 분석 방송 사진이 화제네요.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면 한일 관계가 개선될거래요.


종로에 있는 위안부 소녀상에 말뚝 테러를 가한 스즈키 노부유키가 대표로 있는 극우 단체 이름이 '유신정당 신풍' 입니다.


그리고 이 스즈키는 문재인 후보측에게도 '독도는 일본땅' 이라고 주장하며 말뚝과 박정희의 사진(링크)을 보냈답니다.


스즈키는 자신의 블로그에 이 박정희의 사진에 매일 아침 예배하라고 했다는데요.


일본 국우파들은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기를 빌고 있을 겁니다.


한겨레 신문 기사(링크)에 언급된 트위터 댓글들이 이렇군요.

@mackle*****은 “일본은 박근혜 편이랍니다. 대한민국은 문재인 편”

@jongsung****은 “한일전이군요. 한일전은 이겨야지”

@ZZan***은 “난 뼛속까지 한국인이니까, 대한민국의 국민후보 편에 서겠습니다!! 문재인 후보 옆에 쓰여진 ‘반일’이란 글자가 ’친일청산’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정말 오랜만에 폰갭 관련 글을 올립니다.

요즘 회사일로 Hybrid App 을 연구 중이거든요.

기존의 모바일 웹을 Hybrid App 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그래서 그 기능을 Corona SDK 와 Corona SDK 의 Web App 을 이용해서 Hybrid App으로 만들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궁금해서요.

지난주에 몇가지 기능에 대해 문의를 했거든요.

목요일 아침에 했는데 아직 응답이 안 오네요.


그래서 오늘(일)은 따로 폰갭을 설치해서 필요한 기능들을 테스트 해 볼까 하는 기특한 마음이 생기더라구요.

(일요일이라고 뒹굴뒹굴 거리지 않고요.. ^^ 이런 날 며칠 없어요..)


지난번에 설치한 건 제 노트북에 설치해서.. 오늘은 회사 노트북에 설치 하기로 맘 먹었습니다.

설치하는 법을 검색하려고 네이버에 '폰갭 이클립스' 로 검색했더니......

제 글이 제일 상단에 뜨는 거예요.. 이런 영광이... ^^

그래서 제 블로그로 들어왔는데 검색해서 뜬 글보다는 그 전에 더 간단하게 PhoneGap 설치 과정을 정리한 글이 있더라구요.

PhoneGap 설치하고 예제 실행하기 

이 블로그에 글을 정리하는 이유가 이렇게 나중에 필요할 때 찾아보기 위해서거든요.
나름 뿌듯하게 생각하면서 따라하고 있는데요...

이럴수가 그동안 너무 많이 바뀌었어요.
그 글은 올해(2012) 4월에 올린글인데 12월인 지금은 너무나도 많이 바뀌어 있는거예요.

물론 너무너무 간단해 졌다는거...

간단해 진 부분은 안드로이드 SDK 설치 과정입니다.
이거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이클립스까지 설치되서 복잡하게 Android Development Tool (ADT) 설치하고 환경 맞추고 뭐 그럴 필요 없이 그냥 버튼만 누르면 다 되더라구요.
(이거 오래전에 바뀌었겠죠? 전 계속 모바일 웹만 개발하느라 Android Native 쪽에는 손을 놓은지 오래 되서 몰랐어요. ^;)

이 변경된 방법도 여기 한번 정리해 놓으렵니다.

우선 PhoneGap 웹사이트로 갑니다. http://phonegap.com/developer


여기서 Getting Started Guides 를 클릭합니다.

거기서 Getting Started with Android를 클릭합니다.


뭘 많이 설치하라구 나오죠? 다 무시하고 Android SDK 를 클릭합니다.


Download the SDK 를 클릭해서 다운 받습니다.

다운받은 압축파일을 풀면 끝입니다.


이렇게 두개의 폴더가 있을 텐데요. 그냥 이클립스로 들어가셔서 실행시키기만 하시면 됩니다.


첫 실행에서는 작업할 때 파일이 저장될 workspace 의 경로를 임의의 장소로 정해 주시구요.

그리고 이런 화면이 나올 겁니다.
첫번째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이 Welcome 화면에서 시키는 대로 하겠습니다.
(이 Welcome 화면은 나중에 Help-Welcome 을 선택하시면 언제든지 보실 수 있습니다.)

  1. Click File > New > Android Application Project.
    (If you don't see this option, click File > New > Other, then open the Android folder and select Android Application Project.)
  2. Follow the wizard to set up your new Android app project.



이 글대로 따라 하세요. 그냥 시키는 대로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첫번째 안드로이드 프로젝트가 만들어 질 텐데요.
여기다 그냥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을 하셔도 되구요.
오늘 목적은 PhoneGap을 사용할 거니까 여기서 PhoneGap 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아까 저 맨 첫번째 그림에서 Download & Archives 를 클릭해서 폰갭을 다운 받습니다.
그리고 압축을 풉니다.

그 압축을 푼 다음 lib-android 폴더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뜰 겁니다.
여기서 저 cordova-2.2.0.jar 와 cordova-2.2.0.js 파일만 복사해서 아까 이클립스에 만든 프로젝트의 적당한 위치에 복사해 넣으시면 됩니다.


바로 저 assets 에 www 란 폴더를 만들고 cordova-2.2.0.js 를 복사해 넣구요.

그 다음에는 원래 있던 libs 라는 폴더에 cordova-2.2.0.jar를 복사해 넣습니다.

그럼 이제 java 파일을 약간 손보실 차례입니다.


저 빨간 줄 그은 부분만 보이시는 대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이전에 제가 올린 글에서 복사해 넣을 께요.

다음에는 AndroidManifest.xml 파일을 수정합니다.

AndroidManifest.xml 안에서 <uses-sdk android:minSdkVersion="8" /> 코드를 찾으세요.

그리고 그 위에 아래 코드를 붙여 넣으세요.


<supports-screens
android:largeScreens="true"
android:normalScreens="true"
android:smallScreens="true"
android:resizeable="true"
android:anyDensity="tru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CAMERA"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VIBRAT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COARSE_LOCATION"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FINE_LOCATION"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LOCATION_EXTRA_COMMAND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AD_PHONE_STAT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CEIVE_SM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CORD_AUDIO"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MODIFY_AUDIO_SETTING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READ_CONTACT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WRITE_CONTACT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WRITE_EXTERNAL_STORAG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NETWORK_STAT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GET_ACCOUNTS"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BROADCAST_STICKY" />


그리고 <activity ..... > 태그에 아래 코드를 추가하세요.

android:configChanges="orientation|keyboardHidden"


그러면 대개 아래와 같은 형식이 될 겁니다.






10. 그 다음은 PhoneGap 프로그래밍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제 블로그의 http://coronasdk.tistory.com/521 에 있는 소스코드를 사용했는데요.
여러분들도 거기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아니면 여러분 나름대로 html 파일을 만드시면 됩니다.
전 tistory521_01.html 파일을 사용했습니다.


11. 이제 실행하시면 됩니다. Ctrl + F11 을 누르시던지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후 Run As - Android Application을 실행 해 보세요.


아래 화면이 완성된 화면입니다.


PhoneGap 을 사용해서 jQuery Mobile 페이지를 표시할 때 까지의 과정이었습니다.


여전히 복잡한가요?

그래도 이게 많이 단순화 한 거예요.
따라해 보시고 좋은 application 많이 만드세요.



반응형